본문 바로가기

매매전세동향51

[금요루틴] 12월 2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부동산원 기준] 안녕하세요. 이번주 금요 루틴은 좀 늦었네요. 늦은 여름휴가중인데, 아무것도 안하니 더욱 격렬하게 아무것도 안하고 싶습니다. 허헛. 그래도, 금요일 루틴은 좀 봐야죠!!! 12월 2주차 한국부동산원 주간매매동향, 분석해 봅시다. 지난주 복기 - 매매, 전세 모두 흐름상 방향이 아래쪽입니다. 매매는 하락 전환을 했고, 전세는 그래도 아직 꽤 힘이 있습니다 - 서울의 경우, 상승시기에는 좋은 지역부터 오르고 비선호 지역은 나중이었는데, 하락은 순서 없군요. 다만, 강남구가 매매도, 전세도 다른 곳보다 더 하락했어요. - 전세의 힘이 꺾였다고는 하나, 호재가 있는 곳, 특히 교통의 여건이 좋아질 수 있는 곳들은 전세가의 상승율이 여전합니다. - 세종시는 지금처럼 방향이 제각각인 시장에서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 2023. 12. 15.
[금요루틴] 11월 4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부동산원 기준] 시간이 참 빨리 갑니다. 벌써 11월 4주차네요. 이제 내년을 천천히 준비해야 할때가 온것이라는 말도 되겠죠. 어제 주식 투자자이신 저희 아버지께서, 제가 부동산 공부를 하고 있는걸 아시곤 이런 문자를 주셨습니다. 주식 시장에 계시다 보니 뉴스가 진짜 빠르신 분이거든요. 뭐 그렇지 않더라도, 이런 기사가 계속 요즘에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투자자니까요. 아버지한테 이렇게 답을 보냈습니다. 답을 쓰면서, 저도 다시 한 번 마음을 다집니다. 이럴때가 기회다!!! 자. 서론이 좀 길었습니다. 이번주 매매전세 동향 보죠. 지난주 복기 : 거래량 줄어들며 시장 축소 - 수도권은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매매가가 주춤하고 있습니다. 매매에서 전세로 옮겨가며 가파르게 상승했던 전세가도 약간은 숨고르기 처럼 보입니다.. 2023. 11. 24.
[금요루틴] 11월 2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부동산원 기준] 벌써 금요일입니다. 개인적으로 지난주와 이번주 뭔 일이 이렇게도 많은지 원. 후두두두둑 일주일이 갔네요. 11월 2주차,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갔는지 , 주간 루틴 시작해 봅니다. 우선 지난주 복기부터 해 볼께요. 지난주 복기 - 전체적으로 시장이 불안하니, 매매보다는 전세로 흐름이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 거래량의 회복이 시장 회복과 직결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전체적으로는 매매는 상승세가 둔화, 전세는 서울 수도권 위주로, 여전히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시장이 아직은 하락이라고 볼수는 없지만, 면밀히 봐야 할 필요성이 있어 보입니다. [금요루틴] 11월 1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부동산원 기준] (tistory.com) [금요루틴] 11월 1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 2023. 11. 10.
[금요루틴] 11월 1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부동산원 기준] 벌써 11월의 첫번째 금요일입니다. 그저께, 매매, 전세 거래량과 전월세, 그리고 금리등의 시장 전체적인 지표를 한번 본적이 있는데요. 11월 1주차는 어떤 흐름이 있었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장 전체적 동향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클릭] [Monthly 루틴][11월] 부동산 동향 파악 - 서울 경기 아파트거래건수/매매전세 비중, 미분양, 금 (tistory.com) [Monthly 루틴][11월] 부동산 동향 파악 - 서울 경기 아파트거래건수/매매전세 비중, 미분양, 금 10월이 훌쩍 지났습니다. 어느새 천천히 1년을 돌아봐야 할 11월이 되었네요. 이제 9월, 거래량이 모두 나왔을거 같습니다. 월간 루틴 시작해 봅니다. [지난 10월 초에 쓴 8월 거래량 및 K-HAI , 금리 life-note... 2023. 11. 3.
[금요루틴] 10월 4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부동산원 기준] 10월의 마지막주 입니다. 신문에서는 연일, "전세가 없다" 라고 이야기 하고 있네요. 하지만 금리 인상 요인들이 많아서 매매가가 힘을 받아서 올라가기는 쉽지 않을것도 같은 요즘입니다. 10월 4주, 어떻게 진행이 되었는지 데이터를 한번 보겠습니다. 지난주 복기 - 서울 경기는 매가와 전세가가 동반 반등을 했습니다. 다만, 1. 매주 변동성이 더 심화되고 있고, 2. 전세가 상승률이 꽤 높습니다. - 경기 주요지역의 전세가는 모두 상승 전환을 했습니다. 아마도 최근 전세 물건이 거의 없어지다 보니 이런 현상이 나오지 않나 싶습니다. - 지방은 혼조세로 보입니다. - 요즘 시장이 좀 오리 무중입니다. 미국 금리는 지속적으로 오르지만 한국 금리는 어제 기준으로 다시 또 3.5% 동결을 결정했죠. 집은 사야겠.. 2023. 10. 27.
[금요루틴] 10월 3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부동산원 기준] 어느새 또 일주일이 흘렀습니다. 이번주 [사실은 지난주] 매매전세 흐름은 어땠는지 보겠습니다. 사실. 지난주 추석 이후 가격이 조정 혹은 안정세로 가고 있어서 이번주 흐름이 궁금했습니다. 지난주 복기 - 우선, 추석 연휴의 여파로, 매수 의도가 많이 줄어들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다만 추석 연휴로 인한 매수 감소는 일시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2-3주는 추이를 봐야겠다. 생각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은 약간 "지쳤다"는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지속적으로 상승으로 달려오면서 매수자, 전세수요자들이 집을 매수 혹은 임차 기다리다가 지쳐서 나가 떨어지는 느낌이랄까요 - 경기 권역은 갈놈만 더 간다. 의 느낌도 있습니다. 화성과 하남 분당은 여전히 열심히 달리고 있고, 경기 북부는 여전히 조정세입.. 2023. 10. 20.
[금요루틴] 10월 2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부동산원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13일의 금요일입니다. 예전엔 (라떼는;;;ㅎㅎ) 13일의 금요일에는 막 컴퓨터 바이러스도 돌고 그랬는데 말이죠. ;; ㅎㅎ 여튼 금요일, 금요 루틴 시작합니다. 지난주 복기 - 전체적으로 전세 수요는 증가하지만, 전세 매물이 부족하여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는 걸로 보여집니다. - 서울은 이제 더이상 어느 지역이 많이 오르고 안오르고 하는 분위기가 아닙니다. 키맞추기를 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집니다. - 경기는 여전히 호재(재개발/교통)가 있는 남쪽으로 상승하고 있고 북쪽까지는 온기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 대구, 부산이 오랜 시간의 겨울을 이겨내고 훈풍이 불기 시작하는 듯 합니다.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요. 이번주 매매전세 전체 동향 어라. 그래프가 전체적으로 모두 하향세를 나타내고.. 2023. 10. 13.
[금요루틴] 10월 1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부동산원 기준] 매주 목요일 오후에 한국 부동산원에서 공지를 하는데, 이번주는 늦어서 금요일에 공지가 되었네요. 토요일 아침에야 분석을 해봅니다. 지난주 복기 - "거래량은 신뢰도이다" 라고 볼 수 있는데, 전체적으로 거래량이 줄어들며 "지표상으로는" 꽤 분위기가 달라진 것처럼보입니다 - 서울은 서남권이 좀 힘을 내면서 전체적으로 상승의 분위기가 퍼지는 모양새입니다. - 경기도는 상승세가 꺾였다고는 하지만, 좋은 지역들이 여전히 힘을 내고 있습니다. - 지방 광역시들은 큰 분위기의 반전이 있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매매 전세 전체 동향 지난주 멈칫했던 매매, 전세의 상승세가 다시 뛰는 모양새입니다. 다만 매매가 보다는 전세가가 더욱 올라가네요, 아무래도 전세가가 많이 눌려 있기도 했었거니와 최근 공급이 없다고 하는 이슈도.. 2023. 10. 6.
[금요루틴] 9월 4주차 주간 아파트 매매전세동향 [한국부동산원 기준] 매주 금요일, 금요 루틴이 오늘 늦었습니다. 블로깅은 약속이 생명인데 말이죠. 시골 계신 부모님 뵙고 오느라 늦어졌습니다. 오늘 늦게라도 매매전세 동향을 분석해 볼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지난주 복기 서울은 매매거래가 좀 붙었지만 전세는 아직 거래가 많지는 않은듯 합니다. 다만, 전체적인 상승세는 전세의 힘이 더 셉니다 경기는 매매, 전세 모두 상승의 흐름이고, 특히 오르던곳은 더 많이 올랐고, 경기 북부도 이제 상승의 국면으로 접어드는것 같은 모양입니다 지방은 세종을 제외하고는 어디가 특히 흐름이 좋다.. 라고 이야기 하기 힘드네요. "대구"가 하락을 끝냈다? 정도로 이야기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이번주 전체 동향 올해 트래킹을 한 이후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네요. 이번주 매매와 전세는 전체적.. 2023.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