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마다 하는 인생 독모 시즌4, 4번째 모임이 어제 있었다.
사람이 많아지며, 10명에 객원 2명 체제로 하다보니, 한 테이블에서 다 하지 못하고,
두시간은 다른 조로, 나머지 한시간은 공통발제문으로 함께 이야기 하고 있다.
나는 여기서 팀장 역할을 하고 있고, 시즌1부터 함께 해 주신 동료분이 부팀장 역할을 하면서,
이런저런 살림을 다 챙겨주고 있는 중.
사실 나는, 우리 멤버가 말한 '방구석 호랑이' 정도 되겠다. (생각해 보니 그렇네..)
부팀장이 다 챙기고 다른 멤버분이 장소도 다 예약해 주고..
나는 하는 일이라곤, 독서 모임에서 말을 좀 더 하는 거하고, 의사결정이 필요할때 먼저 이야기 하는 정도.
여튼 그렇다.
나의 선한 의도.
어제는 아마 그랬던 것 같다.
7시에 딱 시작을 해야 하는데, 늦는 동료들이 꽤 있었고, 그래서 그런가.
혼자 속으로 '아. 이러면 안돼. 분위기를 다시 좀 잡자' 하는 생각을 했던 듯 하다.
그래서였을까. 유난히 꼰대같은 말이 많이 나오는 듯 했다. 하고 나서도 '나 왜 이러냐?' 하고 후회가 된..
7시부터 시작된 조별 토론 시간이 끝나고, 9시.. 이제는 공통 토론을 해야 했다.
OO님. 이제 자리 합쳐요.
잠깐 화장실을 가면서 우리 부팀장에게 이야기를 했다.
아무것도 아닌데, 문제는 말로 하지 않고, 몸짓으로 했다는거다.
어깨를 툭툭 친 다음에 두 손을 모으는 행동을 한 뒤, 나는 화장실을 갔다.

화장실에 가서 생각해 보니, 바로 후회가 된다.
'아, 그냥 말로 할걸, 아니다, 그냥 내가 같이 하자고 이야기 할껄. 왜 굳이 그랬을까'
나의 의도는 아직 동료들이 이야기 하고 있으니, 조용히 부팀장께 '분위기를 봐서 합치자' 였는데,
화장실을 가자 마자 책상과 의자를 옮기는 소리가 났고,
나는 '존중없이' 그 분에게 일을 시키는 것 같은 행동을 하게 됐다.
'나 화장실 갔다 올테니 자리 정리 해~' 라는 뭔가 약간 꼰대 같은 말이 되었달까.
선한 의도는 받아들이는 사람의 목이다.
어제 독서 모임 책은 『혼모노』 였다.
내 주제가 "선한 의도를 어떻게 끝까지 유지할 수 있을까?"였는데,
내 행동은 전혀 그러지 못했다.
내가 가지고 있는 선한 의도는 전혀 닿지 못했고, 그걸 바로 잡을 용기도 내지 못했다.
(사실, '미안합니다. 난 이런 의도였어요' 라고 수번 이야기 하려 했는데,
너무 소심해 보일까봐, 말하지 못했고, 말하지 못한것에 대한 후회는 하지 않는다.
지금 다시 가도 말은 하지 않았을듯 해서)
내가 어떤 의도로 이야기를 했든, 그것이 선한지, 그렇지 못한지는 '받아들이는 사람' 목이다.
그 사람이 어떻게 느끼느냐다.

선한 의도를 끝까지 전달하는 법.
어제, 토론을 하면서
선한 의도를 끝까지 받아들이는 방법에 대해 '피드백을 잘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말을 했다.
사실, 나의 대부분 행동.. 아니 거의 모든 행동은 선한 의도를 가지고 있고,
진짜 그것이 선한 의도인지는 상대방에 달려 있는 만큼,
상대방이 어떤 생각을 하게 됐는지에 대해 말(피드백)을 해 준다면,
"사실 저의 의도는"이나 "아니 내 말은 그게 아니고" 라고 말하지 말고,
"감사합니다" 하고 받아들이라는 거였다.
그래야, 다음에도 상대방이 피드백을 해 줄 수 있으니까.
그런데, 어제와 같은 경우, 내적인 자기검열에 걸린 상황.
상대방이 표현해 주면 좋겠지만, 그렇지는 않았고, 나 혼자 괴로운 상황이 됐다.
어제 집에 오면서 곰곰히 생각해 봤다.
역지사지의 함정.
역지사지, '내가 상대방 입장이라면' 을 고려해 보는 좋은 방법이다.
어제의 나는 순간 그렇게 생각했던 것 같다.
'OO님은 나를 잘 아니까 잘 이해해 주겠지?' 라고,
뭔가 친한 친구 사이에서 그러는 것 처럼.
하지만, 친한 친구일수록 다툼은 더 있다. 처음 보는 사이는 서로 조심하면서 존중하는데
친구 사이는 '저 친구는 나를 이해해 줄꺼야' 라고 생각하니까.
그러면서 "야 ! 그것도 이해 못해주냐?" 라고 한다.
이것도 역지사지를 했다고 생각한다.
다만, '내가 너라면, 이정도는 이해해 줄꺼야' 라고 생각하는 아주 얕은 역지사지랄까?
사실 대부분 그렇지 않을까? '나는 아마 이정도는 이해해 줄꺼 같은데 너도 그렇지?' 라고 생각하는거.
얕은 역지사지가 아니고,
시간을 두고 생각한 역지사지가 되어야 한다.
'내가 너라면 이정도는 이해해 줄꺼야' 가 아니고
'내가 너라면, 이 말을 어떻게 받아들일까?'를 머릿속으로 시뮬레이션 해 봐야 한다.
아마 그랬으면 어제 그 행동을 하지 않았을 꺼다.
내가 이야기를 하던지, 아니면 한번이라도 웃으면서 그 분께 이야기를 했겠지.

아. 뭘 그렇게까지 피곤하게 살아야 하나?
내가 많이 들었던 생각이다.
실제로도, 이런 생각을 하다 보면, 이야기를 하려다가 '멈칫'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행동에도 소심함이 드러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생각들을 반복해서 하다 보면 그게 습관이 되고,
나중에는 자연스럽게 된다.
우리가 식사를 하고 나서 계산을 할때 "감사합니다" 라고 하는 것 처럼.
버스를 태워준 기사님께 내릴때 "수고하셨어요"라고 말하는 것 처럼.
한번 더 생각하기.. 라고 말하면 좀 식상하고
"그 사람 입장에서 내 말 들어보기" 정도는 해야, 제대로 된 역지사지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일상인으로서 > 일상_생각,정리,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3. 아무것도 하기 싫을 때는. (0) | 2025.10.13 |
---|---|
162. 글을 쓰는 이유. - 초심으로 돌아가기. (0) | 2025.10.12 |
161. 시도라도 해 볼껄. (일단 해 보자. 안되면 말고) (1) | 2025.10.11 |
160. 연휴동안 내가 얻은 것들. (0) | 2025.10.10 |
159. 본질을 생각하자. (0) | 2025.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