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힘들다.
더이상 못하겠다.
어제 저녁, 줌으로 회의까지 끝내고 났더니, 나도 모르게 단말마가 나온다.
강의 준비하는 건데,
내가 하고 싶은 일 준비하고 있는건데,
왜 힘드냐 이거..
인생의 중반기, 분기점을 찾다.
40세가 넘으면서, 많은 변화가 찾아왔다.
가장 먼저 나에게 온 변화는 "건강"
덩치는 크고 뚱뚱했지만, 운동을 매일 하던 나에게, 그도 그럴듯이 아버지께서 종합병원이셨기 때문에
내 건강을 위해서는 신경을 많이 써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 41세를 남겨놓은 3개월 전, 갑상선암 진단을 받고 만41세가 된 그달, 크리스마스 이브에
수술을 받았다.
그 해부터 부동산 공부를 했다.
암진단을 받아서였기 때문일까, 우연히 였을까.
정확한 계기는.. 지금 살고 있는 이 집을 사면서 아내의 "아는 엄마가 좋다그랬어" 였고.
투자를 누구의 말을 듣고 하면 안된다는 건 아버지의 가르침 덕에 알고 있었기에
"내가 해 보겠어!!!" 라고 하면서 시작했다 (나중에야, 아내의 '아는 엄마'들이 강남싸모님 류라는걸 알게됐다)
어쨌든 이렇게 살면 안될 것 같았다.
회사에서 잘 나갈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미래 준비가 된것도 아니니..
그 후로 5년동안
부동산 공부, 투자공부를 꽤 했던 것 같다.
그러면서 주식 투자도.. 이런 저런 스터디와 모임을 통해 앞으로 내가 해야 할 방향을 고민하게 됐다.
미래를 위해 준비하고 있는 두가지.
투자공부를 한지 5년, 결국 알게 된 건,
부동산은 결국 서울, 그것도 강남 (그렇게 환멸하던 강남 싸모님들이 쌉고수였다는걸 알게 됐다)
그나마 주식이 개미들이 할만한 것인데, 엄청 열심히 하지 않으면 세력들의 밥이 되기 일쑤라는 거다.
그러면서 결론은
"사람은 하면 할수록 재미있는, 할수록 나에게 힘을 주는 일을 하면서 살아야 한다"는 거였다.
사실, 그 계기는 부동산 임장을 하면서부터였는데,
같이 가는 동료들은 임장을 재미있어 했다. 동네를 보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고, 즐거워보였다.
나는 "해야 하니까" 할뿐, 회사 일과 그렇게 다르지 않았다.
아참, 좀 다른거라곤 회사에서는 일시키는 사람이 있지만 여기는 그렇지 않다는 것과
그래서 회사는 돈을 받고 다니는 것이고 임장은 돈을 쓰며 다닌다는 것.

내가 하면 할수록 재미있는 , 하면 할수록 힘을 주는 일을 찾아야 했다.
그게 , 사람을 변화시키는 일이었다. 나는 사람이 나로 인해 변화하는 모습을 보면서 나의 의미를 찾는 사람이었다.
그래서
첫번째, <비전센터>를 통해 사람들에게 스트레스 줄이는 나..를 찾는 방법을 돕자.. 였고
두번째, 장애청소년 IT교육을 통해 , 장애인 자립을 돕자.. 였다.
요즘 주말은 이 두가지로 거의 올인 되고 있다.
(평일에도 잠식되기 시작하고 있다. )
그래서 이번주 토요일 (오늘)은 장애 청소년 Global IT Challenge 결선 진출자에 대한 AI, IT 교육이 있고
내일은 버크만을 통한 "보이지 않는 나 찾기" 프로그램을 한다.
돈 생각하면 하지 못할일이다.
내 미래를 위한 일이니 하는거다.
이걸 찾는데 결국 6년이 걸렸다.
항상 에너지가 넘치는 것만은 아니다.
나는 강의를 하면 에너지가 차는 사람이다.
지난주 토요일 "기업이 원하는 강사" 강의를 준비하면서도 그렇게 힘들었지만,
강의를 하고 나서는 힘이 났다.
강의에 오셨던 분들이 "덕분에 해냈다"라는 말이 그렇게도 좋았다.

하지만 그건 결과인것..
강의를 준비하는 시간은 진짜 미치도록 괴롭다 ;;; 허허헛.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하는 고통은. 기획과 전략에 은사가 없는 나에게. 참 어렵다.
버크만 결과에서 "예술"수치가 최하인 나는, 특히나 더 그렇다.
논리적이지도 않는데, 장표가 이쁘지도 않아..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강의 평가를 좋게 받는 이유는
나의 진심이 들어가 있고, 나의 경험이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견뎌야 한다. 견딜 수 있다.
아.근데 너무 힘들다;;
어제도 왼종일 강의안 짜면서 교안 만들다가 진이 다 빠졌다..
저녁에 보조강사분들하고 줌 회의까지 하고 나니, 더이상 못해!! 배째!! 라고 하고 싶더라.
필요한건 [만족지연 능력]
하지만 안다. 하고 나면 좋을거라는거,
하고 나면 내 능력이 더 키워질거라는거, 지경이 넓혀질거라는 거,
그리고 잘 하면, 이 기회가 많아질거라는거.
그러니 해야 한다.
그러니 할 수 있다.
10여년전, 회사에서 마케팅 신입 4년 22주짜리 교육이 있었는데,
그때 우리 고문님께서 "만족 지연 능력"이라는 걸 강조하셨다.
대표적인 예시가 "마시멜로 실험"인거다.
당장 먹어버리지 말고, 그 '아는 맛'을 보는 행복을 최대한 지연시키면 엄청난 큰 보상으로 돌아온다는 것.
당장 눈앞에 있는 휴식..이라는 달콤함으로 채우지 말고,
내가 결국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 수 있는 , 하면 할수록 힘이 나는 일을 하고 있는 나를 상상하면서
오늘 하루를 좀 더 달굼질 해야 한다는 거다.
아니까, 나중되면 힘 날거 아니까.
그리고. 지금 이렇게 괴로운건 내가 못하는거니까. 나중에 레버리지 하면 되지 뭐!!!
그렇게 오늘 하루, 내일 하루는 눈 앞에 있는 마시멜로를 안먹고 버텨봐야겠다.

'일상인으로서 > 일상_생각,정리,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6. 강점으로 일하기: 못함이 아니라 방법의 문제 (0) | 2025.09.26 |
---|---|
145. 왠지 맘에 드는 사람, 왠지 맘에 들지 않는 사람. (0) | 2025.09.25 |
143. 인생은 결국 역본능. (0) | 2025.09.23 |
142. 그냥 다시 시작하면 돼. (0) | 2025.09.22 |
141. 말하는 것과 하는 것.[말하는대로 행하기] (0) | 2025.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