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이제 그만,
꼭 그러다 싸우더라.
주말에 집에 있는 날이면, 아이와 잠깐씩 장난을 친다.
자폐가 있는 첫째는 덩치가 너무 커져서 장난을 치고 난 후의 후폭풍 - 장난으로 한대 쳐도 아프다-이 장난이 아니고
둘째는 무슨 성난 고슴도치처럼 소리를 빼액 지르기 일쑤다.
그래서 가끔 툭툭 찔러 반응이 괜찮을 때면, 한번 더 찔러 보다가,
결국 또 소리를 빼액 지른 후 "아빠 미워!!" 하고 가버린다.
그 시점에 아내가 혀를 차며, "으이그, 적당히 하라니까" 란다.
자세히 보아야 알 수 있다.
어제는 아내가 친구들과 모임을 다녀온 날.
고등학교때부터 우정을 쌓아온 친구들과 한두달에 한번씩 만나는데 그게 어제였다.
서울에 이사갈 집을 정하고 처음 가는 모임이라, 약간은 들떠서 나갔던 것 같다.
왼종일 아들 둘과 함께 있는데,
밖에서 돌아다니길 좋아하는 첫째는 나가서 자전거를 타고 집에 들어와서 간단한 간식 먹는걸 반복했다.
(이쯤 되면 간식이 먹고 싶어 자전거를 타러 나가는 것 같기도..)
집에 있는걸 좋아하는 둘째는 밥을 먹는둥 마는둥 안방에 들어가서 누워서 게임하기 바빴다.
사실, 아빠와 함께 있는 하루는, 하고 싶은걸 해도 용인되는 약간 그런 날이랄까.
방에 있는 둘째 옆에 나도 벌렁 누워본다.
뭘하고 있나 봤더니, 유튜브를 보고 있다.
아들을 콕 찔러 본다. (게임을 하고 있을때 콕 찌르면 바로 짜증을 낸다)
"오!" 하고 눈을 치켜뜨며 장난스럽게 받아준다. 그러고 몇번 찔러본다,
이번엔 여기까지.
점심먹고 또 큰방으로 가길래 또 따라가서 톡 찔러 본다.
"우에에에~~" 하면서 반응이 격렬하다.
이제는 아빠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한 10분동안 맞았나 -_- 보다. ;;
그렇게 지낸 하루, 저녁에 아내가 들어왔다.
저녁을 먹고 난 후 아들을 콕 또 찔러본다. 오늘 하루 친근감이 생긴 탓인지, 아들이 그래도 잘 받아준다.
등어리를 톡톡톡톡 쳤더니, 로봇 흉내를 낸다. 톡톡톡 칠때마다 허리를 조금씩 펴더니 뒤로 넘어간다.
아내가 처음에는 톡톡톡톡 소리만 듣더니, 두어번 듣고 나서
"여보 그만해, 또 싸울라" 라고 한다.
그러다가 몇번 반복하는걸 보더니 신기해한다.
아들이 엄마한테도 해보라 한다.
덕분에 저녁에 또 한번 웃음이 터진다.
사람에게 필요한건 관심이다.
어제를 생각해 보니, 아들에게 필요한건 관심이었다.
아니, 아들이 관심이 필요했다기 보다, 내가 관심을 가지고 정확히 봐야 아들과 교감이 되는거였다.
친해지고 싶다고, 아들이니까, 그냥 툭툭 치고 들이댔으면, 또 분명히 아들이 빼액 소리를 질렀겠지.
다행히, 한번 콕콕 찌르면서 반응을 보고,
왼종일 아들의 상태를 알고 있었으니 가능한거였겠다.
사실, 인간관계가 다 그렇다.
처음 보는 사람에게 실수하는 경우는 좀처럼 없다.
대부분, 어느정도 아는 사람.. 그 사람에게 "이정도는 해도돼" 라고 생각하는데서 시작된다.
그렇다고 24시간 그 사람에게 관심을 쏟을수는 없다.
하지만, 그 아는 사람과의 어떤형태로든 접근이 필요할때는 어떤 상태인지를 알아보는 관심이 필요한게 아닐까.?
(물론, 업무는 또 다른 이야기겠다.)
결국 사람에게 필요한건 서로의 관심이다.
초등학교 아들도 그럴진대. 어른은 더 말해 무엇하랴.

'일상인으로서 > 일상_생각,정리,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4. 휴대폰을 또 날려먹다.. 나의 "흥미"에 관하여 (0) | 2025.09.14 |
---|---|
133. 내가 가지고 있는 "감정에너지"는 어느 수준일까. (버크만의 감정에너지) (0) | 2025.09.13 |
132. 사람마다 다른 "신체 에너지" - 반응의 정도 (0) | 2025.09.12 |
웃는 얼굴, 내가 줄 수 있는 최고의 인사 (0) | 2025.09.11 |
130. 불현듯 후회되는 행동이 생각난다면. (1)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