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가구1주택2

[경제정책 톺아보기] 지방 공시가격 2억원 이하 주택 취득세 '중과' 제외 등. 두부터, 투자자들의 눈이 번쩍 뜨일 듯한 [눈이 뜨여서 뭔갈 할 수 있는 시장이라는 이야기는 아님 ㅎㅎ] 기사가 있어 가져와봅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19868i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배제 1년 연장…지방 부동산 세금 대폭 완화 [2025 경제정책방향]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배제 1년 연장…지방 부동산 세금 대폭 완화 [2025 경제정책방향], 부동산 종부세 1세대1주택자 특례 적용되는 지방 저가주택대상, 공시가격 3억원에서 4억원으로 높아져 취www.hankyung.com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배제 1년 연장…지방 부동산 세금 대폭 완화 [2025 경제정책방향] 헤드라인은. 얼마전부터 있어왔던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배제를 연장 (26년 5월까지) 한다는 .. 2025. 1. 4.
[정책] 지방 준공후 미분양 해소 대책 , 기준, 적용여부 확인 아침에 이런 기사가 나왔습니다. 지금 시점에 이런 기사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어 저도 공부할 겸 짚어 보겠습니다. 악성 미분양이 뭐지?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대부분 아시겠지만, 악성 미분양이라는게 있죠. 좀 더 순화된 용어는 "준공 후 미분양" 입니다. 그게 뭐냐면... 건설사가 예를 들면 1천 세대의 집을 짓는다!! 라고 했을때 땅사고, 건물 올리고, 인건비를 줘야겠죠? 그럴때 들어가는 돈이, 채당 5억 정도다! 라고 하면, 5천억의 비용이 들겁니다. 근데, 건설사가, 5천억이라는 돈을 현금으로 들고 있을까요? 아니죠 아니, 현금으로 들고 있더라도, 운용을 하던가 예비비로 들고 있겠죠. 기업이 어떤데인데.. 그래서 건설사에서는, "여기 집 지어요~~ 사세요~~" 라고 합니다. 그게 청약이죠. 청.. 2024. 1. 11.